-
KOSPI200 ETF는 한국의 주식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상장지수펀드로,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. 이 ETF는 투자자에게 주식과 같은 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, 분산 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KOSPI200 ETF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.
ETF 투자 종목 비교 및 추천 KOSPI200 ETF란?
KOSPI200 ETF는 한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로,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. KOSPI200 지수는 한국의 대표적인 200개 대형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 ETF를 통해 투자자는 한국 주식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반영한 투자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. 특히 ETF는 주식과 유사하게 거래가 가능하여 유동성이 높고, 낮은 비용으로 다수의 주식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KOSPI200 국내 주요 ETF
KOSPI200 ETF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대표적으로 PLUS, RISE, KODEX, TIGER 200 ETF가 있습니다. 각 ETF는 운용사와 수수료, 성과 등이 다르기 때문에, 어떤 ETF가 괜찮은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ETF별 순자산
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하며 ETF에 대한 안정성이나 선호도를 반영해주는 지표입니다.
KODEX200 (65,488억원) > TIGER200 (26,051억원) > RISE200 (13,661억원) > PLUS200 (7,274억원)
KODEX200 2. ETF별 배당률 비교
주식, 채권 등 각 ETF의 기초자산을 운용하면서 발생한 배당, 이자 등 고정적 수익을 ETF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분배금이라 한다. 단 KOSPI200 ETF는 월배당 지급하지 않고 분기로 배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.
TIGER200 (2.29%) > RISE200 (2.13%) ≥ KODEX200 (2.09%) ≥ PLUS200 (2.04%)
TIGER200 3. ETF별 수익률 비교 (3개월)
ETF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익률입니다. 각 운용사별로 수익률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KOSPI200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3개월 간의 단기수익률은 운용사별로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.
4. ETF별 수익률 비교 (12개월)
ETF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익률입니다. 각 운용사별로 수익률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12개월 수익률도 거의 유사한 수준이며,
TIGER200 (7.26%) > KODEX200 (7.2%) = PLUS200 (7.2%) > RISE200 (6.9%)
TIGER200 5. ETF별 수수료
KOSPI200 ETF 종류별 수수료는 크게 총보수, TER, 실비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실비용을 보시면 됩니다.
PLUS200 (0.0523%)>RISE200 (0.0545%) > TIGER200 (0.0895%)> KODEX200 (0.194%)
6. KOSPI200 구성종목 /섹터비중
KOSPI200 ETF 종류별 구성종목 10개, 섹터비중은 11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KOSPI200 지수를 추종하기 떄문에 운용사별로 동일한 것으로 보입니다.
종합 비교 및 추천
각 ETF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비교해보면, 순자산 규모 측면(안정성)에서는 KODEX200이 압도적으로 높고 그 뒤를 TIGER, RISE, PLUS순이며, 수익률은 장단기 기준 거의 대동소이한 수준입니다. 수수료 부분은 RISE200, PLUS200이 가장 저렴한 수준입니다.
결론적으로 순자산 규모가 크고 수수료까지 고려를 한다면 가장 괜찮은 ETF는 TIGER200을 추천드립니다.
TIGER 200